Location | Seodaemun-gu, Seoul, South Korea |
Use | Educational Research Facility |
Programme | General Classrooms, Multipurpose Auditorium, Audiovisual Room, Childcare Facility, Cafeteria, Parking Lot |
Site Area | 6,345.00 sqm |
Building Area | 1,883.92 sqm |
Gross Floor Area | 8,679.70 sqm |
Building Scope | B1F-5F |
Design Year | 2024 |
성장과 화합의 이음터
서울고은초등학교는 북서측으로 고은산의 경계에 면하고 있으며, 도심속 주거지에서 자연적 요소를 누릴 수 있는 지리적 특성을 가진다. 개교 50년 이상 경과한 노후 학교이며 재구조화가 필요한 상황에 놓여있다. 본 설계안은 미래 교육환경 변화 및 다양한 교수,학습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설을 설계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구축, 창의적인 교육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교육시설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용자 관점에서의 유연하고 다양한 공간으로 재구조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학교는 몇몇 극복해야할 주변현황의 어려움을 마주하고 있다. 교사동 정면 학교운동장 보다 높은 레벨의 도로 옹벽이 주는 답답한 느낌과, 교사동 뒷면 고은산측 6M 높이의 옹벽은 자연을 배경으로 도심과 접한 고은초등학교가 자연과 가까워지고 지역사회를 품으며, 소통과 융합의 장소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중대한 과제이다.
우선 자연 환경을 학교의 모든 공간에 적극적으로 유입되도록 노력을 기울였다. 자연 조망을 실현하기 위해 모든 교실매스를 남향으로 배치하였으며, 교사동 사이 이격거리를 확보하여 저층부까지도 양질의 일사량이 확보된도록 하였다. 상호 이격된 교사동 매스 사이 외부공간에 체험학습장, 휴게정원등의 자연환경을 조성하여 공간적 다채로움을 실현하였다. 교사동과, 운동장의 위치를 상향 조정하기 위하여 현재의 운동장 레벨에 지하주차장을 구성하는 동시에 그라운드 레벨을 끌어올려, 도로보다 지대가 낮은 지형적 단점을 개선하였다. 무엇보다 학교 구성원들 상호간의 다양한 소통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커뮤니티 노드를 설치하였으며, 이 공간들은 교실과 공간사이에 존재하며, 휴식 및 점심시간등에 자연을 조망하며 소통과 교류의 공간으로 활용된다. 학생들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며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activity plaza는 다양한 레벨에서 외부정원과 결합되어 저학년을 위한 체험학습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건축적 장치가 대지의 물리적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가 연결되며, 도심속 자연에서 취할 수 있는 휴식을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기를 기대한다.